냥이백서♪

알아보자! 고양이의 식성 :)

Aliciaa 2022. 11. 9. 10:39
728x90
반응형



고양이는 육식동물

고양이는 개와 달리 완전하게 육식동물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야생 고양이는 쥐, 새, 생선, 벌레, 뱀, 개구리 등을 사냥으로 먹고 삽니다. 다만, 길고양이들 중 도시에 사는 길고양이들은 인간이 버린 음식을 주워 먹는 생활을 하기 때문에 울음소리를 싫어하는 이웃이 있는 경우, 되도록 음식물 쓰레기가 있는 곳에는 접근하게 해서는 안 됩니다. 또한, 길고양이가 먹을 것을 인간이 사는 집 주변에 주어서도 안 됩니다. 집에서 기르는 고양이들은 주로 사료를 먹는데, 날생선 같은 아무 음식이나 주어서는 안 됩니다. 또한 고양이의 생명에 치명적인 것으로는 타이레놀, 자일리톨, 카페인, 초콜릿 등이 있습니다.

고양이는 야채나 과일도 다른 육식동물과 마찬가지로 먹을 수는 있습니다. 주인이 캣 그래스(Catgrass)라는 이름으로 팔리는 식물을 사서 물을 준 뒤 거기서 귀리나 보리 새싹이 올라오게 되면 이들이 알아서 그걸 뜯어먹는 것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다만 고양이마다 취향이 달라서 일부는 환장하며 뜯어먹을 정도로 좋아하고, 일부는 거들떠보지도 않습니다. 특별하게 간혹 상추나 여러 야채, 과일 등을 먹기도 합니다만 개는 음식의 단맛을 좋아하고 잘 느끼는 것과 달리 고양이는 단맛은 전혀 못 느낍니다. 출처를 따져보면 단맛이란 게 대부분 식물성이므로 설탕, 꿀, 물엿, 과일 등 단맛을 내는 물질이 자연계에선 식물에서 나옵니다. 때문에 완전히 육식동물인 고양이가 단맛을 굳이 느낄 필요가 없는 것입니다. 물론 단 음식을 주면 고양이가 탄수화물을 흡수하지 못해 지방으로 전환되게 됩니다. 간혹 케이크 같은 단맛 음식을 먹는 걸 볼 수는 있는데 그냥 지방 맛으로 먹는 것일 뿐입니다. 케이크에 사용된 크림이 우유에서 추출한 동물성 지방으로 만든 것이기 때문입니다.

야생의 고양이


야생에서 사는 고양이들의 개체 수가 급증하다 보니 야생 조류를 과하게 많이 잡아먹어 문제가 되기도 합니다. 미국에서는 이러한 일이 꽤 심각하여 소형 조류들의 멸종되지 않을까 염려할 정도라고 합니다. 이는 고양이가 호랑이, 표범의 친척이라는 것을 상기시키는 대목으로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새들이 지나치게 서식하는 지역에서는 개체 수를 조절하는 데에 고양이가 도움이 되기도 하지만, 까치는 상당히 지능도 높고 단체행동도 하므로 고양이가 해코지를 하려고 할 때 오히려 역공격을 당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길고양이는 제대로 된 관리를 받지 못해 3~4살만 지나면 노쇠해져서 재빠른 동물을 사냥하기 힘들어 지기 때문에, 바로 눈앞에 새가 있는데도 사냥을 못 하거나 무관심하거나 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집에서 기르는 고양이


보통 집에서 기르는 고양이들에게는 사료를 주는데, 닭, 연어 등이 주원료입니다. 생식을 시키기 위해 사료를 주는 대신 토끼고기 등의 재료를 분쇄기로 갈아주기도 합니다. 이러한 생식이 좋기는 하지만 기생충 등의 문제로 아무거나 주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가공된 생식 사료를 주면 기본적인 음수량도 충족되고 영양적으로도 좋아 신부전 예방에 좋습니다. 다만 생식은 번거로움이 있고 가장 큰 이유로는 건사료에 비해 비쌉니다.

오히려 사료나 캔 혹은 스틱형 간식만 먹고 자란 집고양이들은 고기나 생선과 같은 생식 식재료를 낯설어하며 먹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그와 반대로 사람이 먹는 음식에 관심을 가지는 경우도 있는 편입니다. 그러나 사람이 먹는 음식은 조리와 간이 되어있어 고양이의 건강에 해롭습니다. 과일은 종류에 따라 괜찮거나 좋은 과일과 해로운 과일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