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인쿤의 유래
메인쿤은 북미 메인주 농장에서 쥐를 잡는 용도로 주로 사육된 고양이 종입니다. 메인쿤은 고양이 중에서 가장 큰 대형 묘로 알려져 있습니다.
'쿤'이라는 선장이 배에서 기르던 고양이가 살던 곳에서 탈출하여 그곳에 서식하던 고양이와의 사이에서 낳은 새끼가 그 조상이라고 하여 쿤 고양이(Coon cat)라 불리기도 하는 전해져 내려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또는 야생너구리와 쿤 사이에서 낳은 새끼가 그 조상이라는 설도 있습니다만, 실질적으로 생물학적 논리로는 불가능합니다. 이는 외양 및 활발한 행동이 너구리와 흡사하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집니다.
일반적으로는 영국에서 건너온 장모 묘와 메인 지역에 서식하던 단모 묘 사이에서 교배가 이루어졌을 것이라는 이야기가 지배적입니다.
1800년대 후반부터 인기를 얻기 시작하였으나, 20세기 초 외국에서 다양한 장모 종인 페르시안 등이 소개되며 그 수가 감소하는 추세였습니다. 하지만 20세기 후반부터는 다시 인기를 얻어 그 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랍니다.
현재 메인 주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동물입니다. 19세기 말 메인쿤이 눈에 있는 것이 첫 발견으로 알려졌으며 20세기 초에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종이 됐습니다. 요즘에는 고양이 품종 중에서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종 중의 하나입니다.
메인쿤의 특징
길고 날렵한 몸매를 가지고 있고, 털은 매우 풍성하고, 색상도 매우 다양하게 가지고 있습니다. 몸무게는 6~10kg 정도 나갑니다. 정말 큰 개체는 15~20kg 정도까지 되는데 이 정도면 삵(8~13kg) 보다 더 큰 덩치입니다. 키는 25~40cm 정도 되는데 두발로 일어서서 꼬리까지 측정하면 100m가 넘기도 합니다. 근육도 상당히 발달해서 이처럼 크고 아름다운 육체를 지탱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고양이의 성장은 1년 정도인데 반해 메인쿤은 3~5세까지 성장합니다. 물론, 고양잇과의 종족 특성인 털 날림은 있기 때문에 털들이 엄청나게 뿜어져 나옵니다.
유전병으로 중/대형 묘라면 가지고 있는 비후성 심근증이라는 심장질환이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심장 초음파 검진이나 키트 검사를 받을 필요가 있습니다.
큰 체구 때문에 맹수처럼 굵고 우렁찬 울음소리를 낼 것 같지만, 실제로는 별 차이 없습니다. 메인쿤의 울음소리는 애초에 고양잇과에 해당하는 소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메인쿤의 미국과 유럽의 외모차이가 꽤 나는 편이고, 좀 더 둥글고 순해 보이는 게 미국 개체인 반면에 머즐이 과장되어 있는 게 유럽 개체입니다. TICA나 CFA 캣쇼에서는 주로 미국 스타일을 취급하는 듯합니다.
메인쿤은 눈 덮인 야생에서 살 수 있는 몸의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방수 기능이 있는 털 덕분에 비/눈/얼음에서 매우 잘 적응합니다. 그에 반해 그만큼 폭염에 약한 편이어서 열사병 등 더위와 관련된 질병에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메인쿤의 성격
성격이 온화하고 매우 똑똑합니다. 개별 차가 있겠지만, 대체적으로 조용한 편입니다. 일반적으로 고양이들이 물을 매우 싫어하는 반면에 메인쿤은 물을 대체적으로 좋아합니다. 게다가 생긴 것 또한 일반적인 고양이보다 턱을 비롯한 입 부위가 훨씬 앞으로 돌출된 형태인지라, 생김새가 사자나 호랑이처럼 생겼습니다. 메인쿤을 보게 되면 왠 조그만 맹수가 있는 것처럼 느껴지고, 귀여움이나 예쁨과는 약간 거리가 있다고 보입니다.
물을 대체적으로 좋아하는 덕에 목욕을 시키기가 아주 편리합니다. 일반적인 고양이는 물에 닿기만 해도 매우 싫어하며 발광을 하는데, 그에 반해 메인쿤은 목욕을 가만히 잘 받습니다. 심지어 수영하는 메인쿤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습니다.
'냥이백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아보자! 고양이의 식성 :) (0) | 2022.11.09 |
---|---|
고양이 중성화 수술 :) (0) | 2022.11.09 |
영국에서 온 브리티시 숏헤어 :) (0) | 2022.11.09 |
고양이에 대해 알아보자 - 샴 :) (0) | 2022.11.08 |
한국 고양이 코리안 숏헤어 :) (0) | 2022.11.08 |